반응형
소니는 해킹에 있어 특별하다.
이전에 내가 작성한 “소니는 해킹으로부터 자유로워질까?” 글은 하드웨어의 해킹을 연쇄적으로 설명한 글이었다. 내놓는 게임기는 모두 다 해킹당하여 소니와 해커사이의 창과 방패의 치열한 전투였던 만큼, 소니가 해킹으로부터 얼마나 특별한지 잘 알 수 있다.소니에는 안드로이드 마켓, 애플의 앱스토어와 같은 컨텐츠 몰이 있다. 이를 정식명칭으로 PSN 이라 부른다. 그런데 얼마 전에 PSN 해킹사건이 있어 최근에 들어서야 PSN 서비스가 다시 재개 되었다. 몇 개월동안 PSN에 접속도 못하고, 개인정보까지 유출된 PSN사건. 그렇다면 PSN사건은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간략하게만 보기로 하자.
여튼 펌웨어가 업데이트 되고 나서 해커 J의 활동이 주춤거리자 곧 은퇴를 선언하게 되었다. 소니는 PS3 만큼은 해킹으로부터 지켰다고 안심을 하는 듯하였으나, 머지않아 또다시 사건이 터졌다. 소니 내부에서 개발자용 펌웨어가 외부로 유출이 된 것이다. 쉽게 말해 개발자용 펌웨어가 유출 되었다는 것은 PS3도 더 이상 해킹으로부터 자유로워 질 수 없다는 뜻이다. 해커 J는 개발자용 펌웨어를 분석하여 루트키를 공개하게 되었다.
머지않아 서버는 다시 복구가 되었지만, 소니에 대한 반감을 가진 해커들이 Anonymous 로 모여 PSN이 아닌 소니 전 네트워크 망을 공격하기에 이르렀고, 때 마침 PSN 서버가 무기한적으로 다운이 되었다. Anonymous 가 소니의 네트워크 망을 공격하는 사이에 또 다른 알려지지 않은 해커그룹이 PSN 서버에 바이러스를 심어 약 7700만 건의 개인정보가 유출이 되었다. 서버에 저장되었던 신용카드의 정보도 마찬가지로 유출이 되었다. PSN 사태의 좁은 의미로는 여기까지 풀이되지만, 이후에 일어났던 일을 간략하게 첨가하자면 이 과정에서 FBI도 해킹을 당하여 약 160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되었다고 한다.
PSN은 북미, 유럽, 일본, 우리나라에도 있을 정도로 대규모 컨텐츠 몰이다. 그만큼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PSN이 해킹을 당한 이번 PSN사태는 이제 해커 그룹이 자발적으로 기업이나 정부를 얼마든지 공격할 수 있다는 뜻을 의미한다. 즉 PSN사태가 전 세계에 있는 해커의 움직임을 활발하게 하였다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해외에서 벌어진 해킹문제라고 해서 우리나라가 넘어갈 수 없는 중요한 문제이다. 이미 우리나라도 해킹에 있어 안전하지 못한 나라이다.
PSN사태로 보는 우리나라는 과연 안심하고 지켜보기만 하면 되는 것일까? PSN사태로 해커집단은 전 세계 모든 국가를 상대로 해커 집단이 이제 자발적으로 기업이나 정부를 해킹하는 이 시점에서 정부는 더 이상 방관하면 안 된다. 현재 정부에서는 농협 해킹사건과 네이트 해킹 사건을 모두 북한의 소행일 것 같다는 추측만 하고 있을 뿐이다. 아울러 뒤늦은 인터넷 실명제 폐지를 도입한다. 네이트 해킹에 대한 파문은 크게 일고 있어도 정작 해킹에 대한 실효성 있는 대안 및 대처법은 별로 나오지 않은 상황이다. 기껏해야 개인정보 지키기 안전수칙만 나왔을 뿐이다.
일련의 해킹사건을 통하여 우리나라 모든 사람들의 대부분이 해킹으로 개인정보가 유출 되었다. SK 컴즈 회장의 개인정보도 유출되었을 만큼 우리나라는 보안문제에 비상이 걸려있다. 네이트 뿐만이 아니라 NHN의 네이버도 얼마든지 해킹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개인정보가 유출되거나 해킹사건이 터져도 이슈거리로 볼 뿐 별다른 대책은 세우지도 않고 그저 방관하기만 한다. 그 예로 네이트 해킹 보상카페인 네해카를 들어보겠다. 네이트 해킹으로 3500만명이 피해를 입었으나 정작 0.15% 만이 카페에서 활동하고 있다. 해킹뿐만 아니라 해킹의 피해에 대한 정당한 권리의 이행마저 적극적으로 행하지 않는 모습이다.
이번 일련의 해킹사건이 주는 의미는 세 가지이다. 첫째는 기업이나 정부가 해킹에 대한 보안의 중요성을 알지 못하였다. 단지 사건이 터졌을 때만 시끌벅적 하고 “북한의 소행” 발언과도 같은 남탓 돌리기 식으로 대처를 하였을 뿐이다. 둘째는 인터넷 실명제의 폐지이다. 그간 해킹사건으로 개인정보가 유출될 때마다 인터넷 실명제에 대한 논란이 불거졌는데, 인터넷 실명제가 해킹으로 이제는 개인정보가 하나의 휴지조각으로 되어버린 모습이다. 셋째는 사태에 대한 참여도가 부족하다. 내성이라는 말이 IT세상에서도 적용되는 것일까. 옥션 해킹사건, 농협해킹사건, PSN 사태, 네이트 해킹사건으로 사람들은 모두가 털렸으니 잃을 것도 없다는 것처럼 그저 지켜보기만 할 뿐이다. 이 얼마나 안타까운 일인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