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revious contents225 소니 PS vita, 타블렛을 뛰어넘을 수 있을까? 사람이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하는 오류 중에 일반화의 오류가 있다. 일반화의 오류는 일부의 지극히 제한적인 것으로 모두가 다 그러한 속성으로 생각하는 오류이다. ‘학교에서 1등한 학생이 문제를 못 풀었을 경우 다른 학생도 마찬가지로 풀지 못한다.’ 가 대표적인 예일 것이다. 그만큼 일상생활에서 사람은 자주 일반화의 오류를 범하게 된다. 때로는 일반화의 오류를 범하여 오해가 빚어지기도 한다. 오해가 빚어져 말싸움이 나기도 하고 이해관계가 맞지 않을 수도 있다. 일상생활에서 그렇듯 IT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예를 들어 애플과 삼성을 비교하여 갑이 옳거니 을이 옳거니 하는 갑론을박의 모습도 볼 수 있다. 그 중에는 논리적으로 접근하는 사람도 있을 테지만, 갤럭시냐 아이폰이냐 라는 스마트폰으로 기업을 평가하는 황.. 2011. 8. 5. LGU+ 사태, 무제한 요금제 폐지의 수순 밟나? 어느 이동통신사든지, 고객 유치를 위해 마케팅 전쟁이 식을 줄 모른다. 지하철을 타면 전단지 지참시 보조금 40만원 지원이라는 문구도 발견할 수 있고 휴대폰 매장 앞을 지나가다 보면 신형 스마트폰으로 무료교체를 해준다고 홍보를 하는 모습도 볼 수 있다. 최근에 나온 스마트폰부터 작년에 나온 갤럭시S, 아이폰4까지 진열장에 스마트폰을 비치하면서 지나가는 사람의 시선을 자연스레 끌게 한다. 물론 모바일 메신저, N스크린등과 같은 서비스로도 경쟁을 하는 모습이지만, 통신사 고객을 유치하는 마케팅 전쟁이 가장 뜨겁다. 각 통신사에서 치열하게 경쟁을 펼치는 만큼 이동통신의 점유율은 큰 변동을 보이진 않는다. 보조금 지원 정책이나, 혜택을 비교 해봐도 어느 통신사라고 할 것 없이 비슷한 모습이다. 이동통신의 점유율.. 2011. 8. 4. 소니의 PS vita, 아직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한 때 소니는 닌텐도와 경쟁하며 게임 시장의 선두를 차지한 적이 있다. 지금으로 치자면 스마트폰이나 타블렛의 입지 쯤 될 것이다. 물론 스마트폰처럼 2천만 명 시대를 바라보듯이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지는 않았으나, PSP와 닌텐도를 소재로 한 우수카페가 여러 군데 있을 정도로 게임 시장은 나름 인기가 있었다. PSP를 예로 들자면 디제이맥스 시리즈 또는 몬스터헌터 시리즈가 인기 있는 타이틀로 꼽힐 것이다. PSP가 초기(100X)에 발매되었을 때 소비자의 반응은 기대 이상이었다. 당시에 PSP는 모바일 IT 최신 기기로 뛰어난 성능으로 소비자를 매료시키기엔 충분히 매력적이었기 때문이다. 손으로 들고 휴대하기 편하며 눈을 즐기기를 원하는 사람들을 위해 때마침 PSP가 나왔었다. 포터블 기기로 고 사양의 게임.. 2011. 8. 3. 망 중립 제한하자는 이통사의 모순, 그 이유는? 두 달 전, 이통사는 카카오톡이 망의 과부하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으로 망 품질을 훼손한다는 의견을 내세우곤 하였다. 무제한요금제를 도입하여 소비자에게 무제한으로 좋은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통사에서는 망 중립성 제한을 주장하였다. 그렇다면 망 중립성이 도대체 무엇이고 그것을 이통사에서는 왜 제한하려고 하는 것인가? (출처 : 바로가기) 트래픽 과부하 원인으로 지목된 카카오톡이 이통사에 일부 요금을 지불하게 될 전망이다. 가입자수 1천400만명을 보유하고 있는 카카오톡은 이통사들의 망을 아무런 대가 없이 사용한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통사들도 트래픽 과부하 원인 중 하나로 '카카오톡'을 지목했다. 하지만 고객들 상당수가 가입한 카카오톡측에 비용부과를 요구할 수도 없는 난감한 입장. 방통위는 26일.. 2011. 8. 2. KT는 어째서 이동통신의 후퇴를 하는 것인가? KT가 예전에 인터넷 종량제를 시행하기로 하였다가, 큰 논란을 빚은 일이 있다. 당시 KT에서는 인터넷 종량제를 시행하지 않아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면이 적지 않다고 하였으며 2가지 이유를 내세웠다. 상위 일부 사용자가 트래픽을 과도하게 유발하여 모든 사람이 공평하게 쓸 수 있다는 이유가 첫 번째이고, 인터넷 중독을 예방할 수 있다는 이유가 두 번째이다. 정작, KT가 내세운 두 개의 논리는 궤변이다. 상위 일부 사용자가 과도한 트래픽을 사용하는 건 당연한 일이 아닌가. IT에 종사하는 사람들 일부가 일반 사용자에 비해 인터넷을 과하게 사용하는 일은 맞으나, 이러한 사람들이 있어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람들을 이끌게 되는데, KT에서는 이와 같은 행보를 막으려 든다. 또한, 인터넷 중독을 예방할 수 있다는 이.. 2011. 8. 1. 클라우드의 단점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클라우드가 모바일 메신저에 버금가는 경쟁을 하고 있다. 아이클라우드가 마치 클라우드 컴퓨팅의 선구자가 된 것처럼 네이버나 다음에서도 클라우드 서비스를 시작하였고 KT에서도 유클라우드 서비스를 하고 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곧 있으면 다른 통신사에서도 클라우드 서비스를 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도 든다. 여튼 애플을 크게 의식하는 삼성도 S클라우드를 준비한다는 소식도 들려오고 있다. 마치 모바일 메신저 경쟁 시장을 보는 기분이다. 클라우드가 PC없는 세상, 즉 포스트PC 세상을 예고하여 클라우드는 더욱 주목받을 서비스 중 하나다. USB 와 외장하드를 이용한 게 엊그제 같은데 이제는 별다른 하드디스크 없이 넉넉하게 저장된 웹에서 동기화를 하며 USB 연결 대신 클라우드로 보내어 PC로 파일을 전송하곤 한다... 2011. 7. 31. 이전 1 ··· 26 27 28 29 30 31 32 ··· 3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