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의 대학은 어떤 대학생을 키우고 있는가

by At Information Technology 2015. 11. 7.
반응형

한국의 대학은 어떤 대학생을 키우고 있는가

결국 사회로 진출해 ‘침묵’에 빠지는 대한민국 성인


평상시 생각하고 그러려니 하고 넘긴 생각을 누군가 재미있는 기사로 작성을 하였다. 안 그래도 골똘히 생각하던 주제가 있었는데, 그걸 콕 집어서 말해주니 내 속이 다 시원하였다. 잘못을 잘못이라고 말하는 사람이 없다고 하니 말 그대로 자정기능을 상실했다고 볼 수 있겠다.


오현태 기자가 작성한 ‘잘못을 잘못이라고 말하는 사람 없어 - 자정기능 상실’에서 마지막 구절에 최승원 덕성여대 교수는 “한국 사람은 성인이 될 때까지 20년 가까이 내가 의견을 제시해봤자 아무 소용이 없고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고 학습하며 자라고있다.”고 문제를 지적하였다. 필자는 이 부분에서 상당히 공감을 하였는데, 현재 활동 중인 다른 기자단에서 아무리 좋은 내용을 제시하여도 받아들이지 않는 경험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루는 이런 적이 있었다. 스마트폰과 태블릿의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커지면서 웹 사이트를 꾸밀 때 UI는 상당히 중요하다. PC화면과 모바일 화면이 다르면 이질감을 느껴 구독자에게 혼란을 주게된다. 이런 일련의 단점들을 정리해 상위부서에 보고하였으나 ‘고맙다.’라는 당시의 말만 돌아올 뿐 필자의 기획안에 대한 답변은 몇 달이 지나도록 아무 말도 없었다.


오히려 주어진 일에 대해 엄격한 관리만 이루어질 뿐이며 기존 구성원과 다른 신입을 선발 후 기존 구성원에게 요구했던 일을 ‘똑같이’ 요구한다. 입사 초기에는 의욕이 앞설 수 있으나 이내 지쳐 순응하게 되고 만다.


잘못된 일을 잘못된 일이라고 부르지 못하는 것이 꼭 너도나도 홍길동을 보는 것만 같다. 왜 이런 일이 생긴 것일까? 필자는 그 답이 대학의 교육문제에 있다고 본다. 이미 대학은 지성인을 길러내지 못하고 A+ 만을 배출하고 있는 학점 자판기가 되가고 있다. 경직적 사고로 인해 무조건 적인 순응을 하며 교수가 앞에서 수업을 할 때 학생들은 책상만 본다. 질문을 하라고 하면 교실에 한 명이 있을까 말까한 수준이다. 질문을 하라고 했을 때 입을 꾹 다물고 있는 것이, 튀지 않는 것이 미덕이라고 생각하는 것일까.


적어도 지성인이라면 이성적 판단능력이 있기 때문에 잘못된 것은 잘못되었다고 분명하게 말한다. 그러나 대다수의 대학생들은 그렇지 못한다. 이는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현 대학 시스템은 지성인을 배출하지 못하고, 지성인의 소양을 갖추지 못한 채 사회로 방류되어 어디 나가서 잘못되었다고 옳은 말을 하지 못한다. 또한, 이런 사람들이 사회의 선배가 되었을 때 만약에 후배가 ‘쓴 소리’를 한다면 “네가 감히!”라고 외칠 것이며 후배에게 불이익을 주는 우리네 모습일 것이다.

반응형

댓글